근린생활시설 한의원 기재(표시)변경 비용 및 절차
서울시 강남구 00상가에서
근린생활시설 한의원으로 표시변경 의뢰가 있었습니다.
한의원으로의 변경은 건물 전체에서 의원으로의
면적이 500㎡이 넘는다면
장애인편의시설을 계획해야하기 때문에
까다롭고 큰 공사가 될 수 있습니다.
건물 내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이 있다면
좀 더 꼼꼼하게 살펴봐야 하는데요
이 용도들의 전체 면적이 500㎡ 넘고 안넘고의 차이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인허가 받을 수 있게끔 도와드립니다.
편하게 문의주세요~ㅎ
아래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카카오톡으로 바로 연결됩니다.
부담갖지 마시고 상담만 먼저 해보셔도 됩니다~.
의뢰인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장애인편의시설까지 잘 해결할 수 있었으며
표시변경 및 건축물대장의 기재사항 변경까지 무사히 완료될 수 있었습니다.
다행히 건물 내에 장애인편의시설이 잘 설치되어 있는 편이였고
일부 몇군데면 경미한 공사를 하였습니다.
표시변경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견적을 내었고
의뢰인께서도 너무 만족해하셨습니다.
2.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
가. 제1종 근린생활시설
(1) 수퍼마켓·일용품(식품·잡화·의류·완구·서적·건축자재·의약품·의료기기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 등의 소매점으로서 동일한 건축물(하나의 대지 안에 2동 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동일한 건축물로 본다. 이하 같다) 안에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 1천제곱미터 미만인 시설
(2) 휴게음식점ㆍ제과점 등 음료ㆍ차(茶)ㆍ음식ㆍ빵ㆍ떡ㆍ과자 등을 조리하거나 제조하여 판매하는 시설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해당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 300제곱미터 미만인 시설
(3) 이용원·미용원으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4) 목욕장으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해당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5) 지역자치센터, 파출소, 지구대, 우체국, 보건소, 공공도서관, 국민건강보험공단·국민연금공단·한국장애인고용공단·근로복지공단의 지사,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용도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제곱미터 미만인 시설
(6) 대피소
(7) 공중화장실
(8) 의원·치과의원·한의원·조산원ㆍ산후조리원으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당해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9) 지역아동센터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나. 제2종 근린생활시설
(1) 일반음식점으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당해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2) 휴게음식점·제과점 등 음료·차·음식·빵·떡·과자 등을 조리하거나 제조하여 판매하는 시설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당해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3) 공연장(극장·영화관·연예장·음악당·서커스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으로서 관람석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제곱미터 이상 500제곱미터 미만인 시설
(4) 안마시술소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당해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